최종편집 : 2024.04.26 20:43
Today : 2024.04.27 (토)

  • 맑음속초16.4℃
  • 맑음9.5℃
  • 맑음철원9.2℃
  • 맑음동두천10.3℃
  • 맑음파주7.5℃
  • 맑음대관령8.9℃
  • 맑음춘천10.4℃
  • 맑음백령도9.1℃
  • 맑음북강릉18.2℃
  • 맑음강릉20.4℃
  • 맑음동해17.5℃
  • 연무서울12.9℃
  • 박무인천11.8℃
  • 맑음원주13.2℃
  • 맑음울릉도16.2℃
  • 박무수원10.1℃
  • 맑음영월9.8℃
  • 맑음충주10.6℃
  • 맑음서산8.9℃
  • 맑음울진16.7℃
  • 연무청주14.8℃
  • 맑음대전12.2℃
  • 맑음추풍령13.9℃
  • 맑음안동12.2℃
  • 맑음상주16.1℃
  • 맑음포항15.6℃
  • 맑음군산10.1℃
  • 맑음대구13.7℃
  • 맑음전주12.4℃
  • 박무울산12.7℃
  • 박무창원12.8℃
  • 맑음광주13.9℃
  • 맑음부산14.0℃
  • 맑음통영12.3℃
  • 맑음목포12.4℃
  • 맑음여수13.5℃
  • 맑음흑산도11.9℃
  • 맑음완도12.5℃
  • 맑음고창9.1℃
  • 맑음순천9.3℃
  • 박무홍성(예)9.2℃
  • 맑음10.5℃
  • 흐림제주16.0℃
  • 흐림고산15.5℃
  • 흐림성산16.1℃
  • 흐림서귀포17.7℃
  • 맑음진주10.6℃
  • 맑음강화8.0℃
  • 맑음양평11.0℃
  • 맑음이천12.0℃
  • 맑음인제10.2℃
  • 맑음홍천10.3℃
  • 맑음태백8.8℃
  • 맑음정선군8.4℃
  • 맑음제천8.8℃
  • 맑음보은10.7℃
  • 맑음천안10.5℃
  • 맑음보령10.7℃
  • 맑음부여9.6℃
  • 맑음금산9.1℃
  • 맑음11.9℃
  • 맑음부안10.1℃
  • 맑음임실8.9℃
  • 맑음정읍9.7℃
  • 맑음남원11.3℃
  • 맑음장수8.3℃
  • 맑음고창군9.5℃
  • 맑음영광군10.1℃
  • 맑음김해시13.5℃
  • 맑음순창군10.8℃
  • 맑음북창원14.1℃
  • 맑음양산시13.3℃
  • 맑음보성군10.9℃
  • 맑음강진군11.1℃
  • 맑음장흥9.7℃
  • 맑음해남9.5℃
  • 맑음고흥10.1℃
  • 맑음의령군10.8℃
  • 맑음함양군9.9℃
  • 맑음광양시13.3℃
  • 맑음진도군9.9℃
  • 맑음봉화8.0℃
  • 맑음영주17.2℃
  • 맑음문경15.7℃
  • 맑음청송군8.6℃
  • 맑음영덕14.6℃
  • 맑음의성9.8℃
  • 맑음구미12.7℃
  • 맑음영천10.6℃
  • 맑음경주시10.1℃
  • 맑음거창10.2℃
  • 맑음합천12.2℃
  • 맑음밀양11.7℃
  • 맑음산청11.4℃
  • 구름조금거제11.8℃
  • 맑음남해12.3℃
  • 맑음12.6℃
기상청 제공
[문화칼럼]천안 흥타령 문화재로 등록하자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문화칼럼]천안 흥타령 문화재로 등록하자

김성열실장.jpg▲ 김성열 실장/천안역사문화연구실
[천안신문] 천안삼거리 흥타령은 우리나라 대표 민요로 전해 오고 있다. 한 동안은 충남의 대표곡으로 인정되어 충남체육대회 행사 행진곡으로 편곡 연주하곤 했다. 흥타령은 기독교가 우리나라에 전래되어 찬송가곡이 아쉬울 때 찬송가 곡으로도 불리어진 우리나라 전통 가락이다.

일제시대에 전통 민요로 많이 불리어졌고 음반으로 보급되었다. 한 때는 시대 정서를 풍자한 가사로 하여 금지곡이 되기도 했다.  북한에서는 흥타령을 행진곡 무용곡으로 편곡 창작하여 국가 예술제 큰 무대에 올려놓은 놀라운 사실을 TV에서 보았다.

1950년대 음악교과서에 우리나라 대표민요로 천안삼거리 흥타령이 소개되었다. 천안삼거리 흥타령을 연구개발해야 할 시대적 사명이 오래 된다. 2009년에 한국 민요학회에서 발행한 한국 민요학 제26집 “경기민요 천안삼거리 흥타령에 대한 史的 고찰” 서울대학교 한국음악학 손인애 박사의 논문을 소개한다.

<천안삼거리>는 문헌 상 19세기 말 경 편찬된 고악보로 추정되는 『東大伽倻琴譜』에 <흥타령>이란 곡명으로 처음 등장한다. 이로 미루어 볼 때 이 소리는 늦어도 1800년대 중, 후반 무렵에는 형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와 같이 당시 인기였던 민요, 소위 대중가요가 사대부의 시정 풍류방에 편입된 경우는 다른 고악보에서도 종종 발견되는데, 이들 소리는 대부분 선행연구에서 전통시대 대표적인 유랑예인집단이었던 사당패의 소리로 판명되었다. 따라서 <흥타령>도 사당패소리였을 가능성이 높아 보이는데, 이를 더욱 뒷받침해 주는 근거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세기 전반기 소리에는 사당패 <산타령>과 남도 <화초사거리>의 주요 사설인 ‘머리 깍고 송랑을 쓰고 바랑을 메고’가 나타나는 점이다.
 
둘째, 사당패 계승집단 출시인 박춘재에 의해 최초로 음반작업(1912)이 이루어졌고, 그의 소리가 음악적으로 가장 고형에 해당화는 점이다.
 
셋째, 1912년 부여지역에서 조사된 <흥타령>이란 소리에 ‘사당패’ 관련 사설이 나타나는 점이다. 즉, 이 소리의 ‘천안삼거리’ 사설은 뒷부분이 ‘논미(논산) 강경이 사당패 등쌀에 기생이 못 산다’로 되어있어, <천안삼거리>가 본래 사당패가 불렀던 소리임을 방증해 준다.
 
이 시기의 곡조는 고악보의 한계 상 정확히 알 수 없지만, 20세기 소리들과 악곡구조가 흡사하고 경기와 남도 음악어법이 혼재된 사실이 확인된다. 이는 초기 음원인 박춘재 창이 다른 소리들보다 남부지역음악어법인 메나리토리 특징이 많이 나타나는 것과 연계되는 점이기도 한다. 이러한 음악 특징은 경기지역을 근거로 활동한 사당패가 충청권인 ‘천안’지역을 소재로 삼으며 소리를 만든 영향이 아닐까 여겨진다.

이러한 사당패 <흥타령>은 사당패 계승집단 출신 창자들이 20세기 초 극장 무대에 진출할 때 흥행의 성공을 위한 레퍼토리의 확보 과정에서 소위 ‘신민요’인 <서울흥타령>, 일명 <천안삼거리>로 재창출한 것으로 보인다. 이 과정에서 후렴구사설이 좀 더 경쾌한 어조[아이고 대야→에루화 지타(좋다)]로 변화되고, 음원이 없어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다른 경, 서도 통속 민요로 미루어볼 때 선율도 다소 변화를 겪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20세기 전반기 <천안삼거리>는 SP음반 및 여러 문헌을 통해 선율의 특징에 의해 크게 두 가지 유형(제1형, 제2형)이 존재한 사실이 확인된다. 제1형은 가장 초기 음반인 박춘재ㆍ김홍도 창(1912)과 산타령패 소리를 수록한 最古 악보집의 『조선속곡집』(1914) 등에 나타나며 유성기 음반이나 문헌에서 제2형보다 훨씬 많이 발견되어, 제2형보다 더 오래되고 당시 보편적인 소리형태로 추정된다.
 
이러한 제1형은 초기 음원인 박춘재ㆍ김홍도 창이 현행 <천안삼거리>와 선율형태가 사못 다르면서 단순 소박하고, 메나리토리의 선율 특징이 많이 나타난다. 그런데 전통시대 사당패소리를 근거로 형성된 경ㆍ서도 통속민요 가운데 박춘재와 문영수 같은 사당패계승 출신 창자들이 부른 소리는 사당패소리의 특징을 여전히 많은 면에서 고수하고 있는 사실이 확인된다. 따라서 제1형이 형성 초기에는 사당패 <흥타령>의 면모를 여전히 많이 지니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천안삼거리>가 초기에는 지금보다 남부지역음악어법이 강한, 소위 경기에 인접한 충청 지역의 음악 특징이 잘 나타난 사실을 알 수 있고, 사당패 <흥타령>도 이러한 특징을 지니고 있었던 소리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여는 제1형의 소리는 경토리의 선율지행 특성이 대두되며 곡조가 현행과 많이 유사해져, 제1형과 제2형의 과도기적 모습을 보여준다. 이와 같이 경토리의 특성이 강해지는 이유는 당시 경기소리가 엄청남 인기를 누린 음악 문화적 상황에서 기인된 것으로 추정된다.

제2형의 토리, 선율, 악곡, 구조등 모든 면에서 현행과 특징이 거의 같은 소리형태로, 경토리의 선율진행 특성이 대두되며 선율이 좀 더 기교적여, 제1형을 토대로 나중에 형성된 소위 신형으로 볼 수 있겠다. 그런데 20세기 전반기에는 제2형이 매우 드물고 시기적으로도 늦게 나타나며, 30년대 신민요 가수들이 부른 <천안삼거리>와 음악적 특징이 거의 흡사하여, 그 영향으로 변화된 소리형태로 보인다.

그런데 20세기 중, 후반 이후에는 더 이상 사당패 <흥타령>의 특성을 많이 간직한 제1형은 전승되지 않게 된다. 경기민요 및 예술음악으로 완전히 수용되면서 경토리의 선율 특징이 더욱  대두되고, 상대적으로 좀 더 기교적인 형태의 선율이 전승되고 있다.

본고의 경기민요 <천안삼거리(흥타령)>의 음악적 변모 양상은 향후 남도 향토민요 및 잡가 <흥타령>과의 관계 및 그 역사적 형성과정을 논의하는데 중요한 토대를 마련하리라 생각된다. 그리고 본고와 같은 음악의 역사적 변천과정에 대한 논의는 시대마다 선호된 음악적 가치관과 미의식을 엿볼 수 있는 작업으로, 21세기 한국음악에 시사하는 바가 크리라 여겨진다.

천안에서 활동하는 국악단, 합창단, 관현악단에서 전혀 천안삼거리 흥타령을 노래 하거나 연주를 하지 않고 있다. 앞으로는 좀더 발전적이고 새로 작업된 천안삼거리 흥타령 음악이 연구 발표되어야 한다.

빠른 시일 안에 천안삼거리 흥타령 연구 영상편집이 이루어져야 한다.

천안의 민요 천안삼거리 흥타령을 천안의 음악인들이 연구발전 시켜야한다. 시대를 이어 전해오는 우리민요 천안삼거리 흥타령을 연구개발해야 할 시대사명을 절감한다. 천안흥타령을 문화재로 등록해야 할 시대정신을  발원한다. 천안의 흥타령 흥을 일으키자.


천안신문 후원.png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