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정치적 퍼포먼스를 넘어서

기사입력 2022.01.24 11:07 댓글수 0

SNS 공유하기

fa tw
  • ba
  • ks url
    망향의동산·유관순 기념관 찾은 대선 후보들, 참배에 그쳐선 안 된다
    0121_윤석열_04.JPG
    21일 오전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후보가 유관순 기념관을 찾아 유관순 열사 추모각에 참배했다. 사진 왼쪽은 정진석 의원, 오른쪽은 박상돈 천안시장. Ⓒ 사진 = 지유석 기자

     

    [천안신문=지유석 기자] 유력 대선 후보들이 2주 간격으로 천안을 찾았다. 지난 7일엔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가, 그리고 21일엔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 후보가 각각 천안을 찾아 지지를 호소했다. 

     

    눈길을 끄는 건 첫 방문지다. 안 후보가 가장 먼저 들른 곳은 망향의동산. 안 후보는 위령탑에 참배하고 그곳에 잠든 위안부 피해 할머니 묘역을 찾아 참배했다. 

     

    윤 후보는 유관순 열사 추모각과 순국자추모각을 차례로 참배하고 헌화했다. 국민의힘은 기념관 바로 옆예 있는 아우내실내체육관에서 충남 선거대책위원회 필승 결의대회를 열기도 했다. 

     

    정치인에겐 모든 일거수일투족이 정치다. 두 후보가 천안을 찾으면서 첫 방문지로 택한 곳도 정치적 의미가 없지 않다. 

     

    실제 안철수 후보는 망향의동산을 찾았을 때, “강한 나라 만들겠다”는 약속을 남겼다. 윤석열 후보는 더 나아가 “유관순 열사의 위국헌신 잊지 않겠다”는 다짐을 방명록에 적었다. 두 후보 모두 천안 방문을 통해 호국 정신을 드러낸 셈이다. 

     

    두 후보에게 당부한다. 망향의 동산, 그리고 유관순 기념관은 지난 아픈 역사와 연이 닿아 있다. 그 아픈 역사란 바로 일제 강점기다. 

     

    망향의 동산은 일제 강점기 징용·위안부 등으로 끌려갔다가 숨진 재일동포들의 안식을 위해 조성한 곳이다. 그리고 유관순 기념관은 3.1만세 운동을 하다 숨진 고 유관순 열사를 기리기 위한 공간이다. 

     

    현재 가해국인 일본은 자신들이 자행한 침략의 역사, 피지배국 여성들을 성노예로 착취한 역사를 줄곧 부인해 왔다. 아베 전 정권은 2019년 7월 반도체 소재 수출규제 조치를 취하는 등 한국 경제를 흔들려는 시도까지 했다. 

     

    이에 대해 역대 한국 정부는 저자세 외교로 일관했고, 일제 강점기 피해자의 가슴에 대못을 박는 일도 없지 않았다. 가장 대표적인 사례가 박근혜 정권 당시 맺은 12.28위안부 합의일 것이다. 

     

    문재인 정부가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에 단호히 대응해 위기를 넘겼지만, 한일 관계는 냉랭하기 그지없다. 

     

    유력 대선후보가 천안에서 상징적 의미가 남다른 곳을 가장 먼저 찾아준 건 고무적인 일이다. 그러나 참배와 헌화에 그쳐선 안 된다. 

     

    어느 후보가 집권하든 일본과의 관계 개선에 적극 나서주었으면 한다. 동시에 과거사에 대해선 분명한 책임을 물어야 한다. 아니, 선거운동 과정에서 유권자들에게 이 같은 입장을 분명히 해야 할 것이다. 

     

    혹시라도 선거운동 과정에서나 집권 후 지나치게 일본에 대해 저자세를 보인다면, 이는 유관순 열사, 그리고 망향의 동산에 묻힌 이들을 욕보이는 행위임을 두 후보는 분명이 기억해야 할 것이다. 


    천안신문 후원.png


    뉴스

    동네방네

    People

    backward top h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