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정치 ‘노예근성’ 버리지 못한 천안시의회

기사입력 2012.12.04 17:23 댓글수 0

SNS 공유하기

fa tw
  • ba
  • ks url
     

    지난 11월30일로 천안시의회 2012년도 행정사무감사가 마무리됐다.

    그런데 28일 유난히 짧았던 감사일정이 기자들 사이에서 오점으로 회자되고 있다.

    비단 짧은 감사 때문이 아니라 바로 이날 오후 박근혜 새누리당 대선후보와 문재인 민주통합당 대선후보가 천안시를 방문해 지원유세를 펼쳤기 때문이다.


    자의든 타의든 천안시의회는 이날 총무위 3시40분, 산건위 4시분쯤 각각 감사를 마무리 했다.

    시의원들 상당수는 감사 후 대선후보 지원유세에서 찾아볼 수 있었다.

    여러 정황을 봤을 때 천안시의회는 대선일정에 따라 행감 일정을 조절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형국이 됐다.


    일부 의원은 자신은 유세장에 참석하지 않았고 사전에 행감 일정을 짧게 조절하자는 일체의 협의도 없었다고 부인하기도 했다. 오히려 정작 행감 때 질의를 하지 않는 동료의원에게 왜 질문하지 않냐고 따지기도 애매한 것 아니냐고 토로하면서 짧아진 행감의 의도성을 부인했다.

    하지만 설득력은 없다.

    실제 이날 총무복지위원회는 해당 소관 중 가장 업무량이 많은 기획예산과를 오전(약 1시간30분)에 마무리 했고 중식 시간도 1시간 앞당겨 오후 1시에 개회하는 한편 세정과 행감은 업무보고 시간을 빼면 질의시간이 불과 35분정도밖에 안될 정도로 속도감 있게 진행했다. 마치 대선후보 일정에 맞춘 것처럼 말이다.

    22일과 23일은 저녁을 먹은 후까지 진행된 것과 비교하지 않을 수 없는 대목이다.


    대선후보들은 충남 정치권 분수령인 천안시에 대선까지 앞으로 몇 번을 더 방문할지 모른다. 그럼 그때마다 예산심의 등 정례회 일정은 짧아질 수밖에 없을 것인가?


    기초단체장 및 기초의회 정당공천제는 그동안 지방자치제의 근간을 위협하는 악법이라며 꾸준히 개정을 요구해왔다. 최근에도 전국 시장·군수·구청장협의회가 공식적으로 정당공천제 반대를 천명했으며 중앙정치권에서도 대선후보 공약으로 검토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당사자인 시의원들이 이런 상황을 연출한 것에 대해 실망스러움을 감추기 어렵다.


    혹자는 이번 모습을 두고 중앙정치의 ‘노예근성’을 버리지 못했다고 혹평을 가하기도 했다.

    일부 기자들은 분명 대선후보 일정 이전에 행감을 마칠 것이라고 내기까지 하기도 했다.

    누구나 사정은 있고 시의원들도 그렇게 밖에 할 수 없는 이유가 있겠지만, 소신 있는 지방의회의 모습을 기대하는 시민들에게는 무슨 말로도 동정표를 얻기 힘들 것이다.

    아무쪼록 남은 대선기간동안 지역정치의 주인공으로서 자성적인 자세를 기대한다.


    천안신문 후원.png


    뉴스

    동네방네

    People

    backward top h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