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캠페인] 천안의 문화재를 찾아①-국보 제7호 '천안 봉선홍경사 갈기비'

기사입력 2018.08.17 14:42 댓글수 0

SNS 공유하기

fa tw
  • ba
  • ks url
    [천안신문]우리가 살고 있는 천안지역의 문화재로는 국보 1건, 보물 8건, 사적 1건, 천연기념물 2건, 도지정유형문화재 8건, 도지정기념물 13건이 있다.
     
    이에 천안신문은 이같은 귀중한 문화자산이 우리곁에 있음에도 자칫 무심코 지나칠 수 있는 소중한 우리 문화재들을 다시 한번 돌아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 시민들에게 널리 알리고자 천안시 문화관광과 문화재팀의 협조를 얻어 연재한다. <편집자 주>
        
     
    천안 봉선홍경사 갈기비(天安 奉先弘慶寺 碣記碑r).jpg▲ 천안 봉선홍경사 갈기비(天安 奉先弘慶寺 碣記碑)


    천안 봉선홍경사 갈기비(天安 奉先弘慶寺 碣記碑)
     
    종   별 : 국보 제7호
    소재지 : 천안시 서북구 성환읍 대홍3길 77-48
    지정일 : 1962. 12. 20  
     
    봉선홍경사는 고려 현종 12년(1021)에 창건된 절이다.

    절이름 앞의 ‘봉선(奉先)’은 불교의 교리를 전하고자 절을 짓기 시작한 고려 안종(安宗)이 그 완성을 보지 못하고 목숨을 다하자, 아들인 현종(顯宗)이 절을 완성한 후 아버지의 뜻을 받든다는 의미로 붙인 이름이다.

    현재 절터에는 절의 창건에 관한 기록을 담은 비석만이 남아 있다.

    갈비(碣碑)는 일반적인 석비보다 규모가 작은 것을 말하는데, 대개는 머릿돌이나 지붕돌을 따로 얹지 않고 비몸의 끝부분을 둥글게 처리하는 것이 보통이다.

    하지만 이 비는 거북받침돌과 머릿돌을 모두 갖추고 있어 석비의 형식과 다르지 않다.

    거북모습의 받침돌은 양식상의 변화로 머리가 용의 머리로 바뀌었고, 물고기의 지느러미 같은 날개를 머리 양쪽에 새겨 생동감을 더하고 있다.

    비몸돌 앞면 윗쪽에는 ‘봉선홍경사 갈기’라는 비의 제목이 가로로 새겨져 있다.

    머릿돌에는 구름에 휩싸인 용이 새겨져 있다. 이 비는 비문의 내용으로 보아 절을 세운 지 5년이 지난 고려 현종 17년(1026)에 세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문은 ‘해동공자’로 불리던 고려시대 최고의 유학자 최충이 짓고, 백현례가 글씨를 썼다.
     
    KakaoTalk_20180817_150412317.jpg
     
    KakaoTalk_20180817_150412586.jpg
     
     
     


    천안신문 후원.png


    동네방네

    오피니언

    backward top h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