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살구조 출동 하루에 42번...매년 증가세

기사입력 2017.09.22 10:40 댓글수 0

SNS 공유하기

fa tw
  • ba
  • ks url
    소방청, 자살기도자 구조출동 5년간 7만건
    [천안신문]자살기도자 구조를 위한 소방출동이 매년 큰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이중 절반을 서울이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민주당 진선미 의원(서울 강동갑/행정안전위원회)이 소방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살기도 유형별 구조출동 현황’ 자료에 따르면, 소방은 최근 5년간(‘13~‘17.7) 7만 36건의 자살기도자 구조출동을 했다.
     
    하루에 42번이나 자살구조를 위해 출동한 셈이다. 2013년에 1만 3,079건의 자살구조 출동이 있었고, 2014년에 1만 5848건, 2015년에 1만 4307건으로 소폭 감소했으나, 2016년에 1만 9388건으로 크게 증가했다.
     
    자살기도의 유형별로는 ‘자해’ 시도가 7만 36건 중 29.6%를 차지한 2만 757건이었고, ‘수난익사’가 9,779건(13.9%), ‘투신자살’이 6,061건(8.7%), ‘약물음독’ 3,136건(4.5%), ‘차량내 가스중독’ 1,316건(1.9%) 순이다. 자살기도로 추정되지만 구조출동시 정확한 원인규명이 어려운 것이 2만 5561건(36.5%)로 가장 많았다.
     
    지역별로 볼 때, 교량과 산이 많은 서울이 전체 자살기도의 절반(48.4%)을 육박하는 3만 3915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경기도가 1만 4112건(20.2%)으로 서울·경기도가 전체 자살기도의 70%로 절대 다수를 점하고 있다. 다음으로 부산 4,613건(6.6%), 경남 1,939건(2.8%), 전남 1,877건(2.7%), 충남 1,816건(2.6%) 순이다. 제주(272건, 0.4%)와 세종(151건, 0.2%)은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진선미 의원은 “우리나라는 OECD국가 중 자살율 1위라는 오명을 13년째 쓰고 있고, 특히 경쟁과 빈부격차로 상대적 박탈감이 큰 지역에서 자살시도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자살문제는 소방·경찰 등 특정 한 부처가 맡아서 해결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범정부차원에서 장기적인 종합대책을 마련해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야 하며,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관계망을 형성하고 생명존중의 국민적 인식개선이 이루어질 때 실효성을 거둘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천안신문 후원.png


    동네방네

    오피니언

    backward top h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