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4.06.03 15:17
Today : 2024.06.03 (월)

  • 맑음속초20.0℃
  • 구름조금26.7℃
  • 구름조금철원25.6℃
  • 구름조금동두천27.2℃
  • 맑음파주26.3℃
  • 맑음대관령16.7℃
  • 맑음춘천25.8℃
  • 맑음백령도21.1℃
  • 맑음북강릉19.4℃
  • 맑음강릉21.3℃
  • 맑음동해20.4℃
  • 구름조금서울28.2℃
  • 구름조금인천25.7℃
  • 구름많음원주26.9℃
  • 구름조금울릉도18.5℃
  • 구름조금수원26.7℃
  • 구름조금영월26.3℃
  • 맑음충주26.5℃
  • 맑음서산26.6℃
  • 맑음울진19.0℃
  • 구름조금청주26.5℃
  • 구름많음대전25.9℃
  • 맑음추풍령24.0℃
  • 구름조금안동24.7℃
  • 맑음상주25.6℃
  • 맑음포항19.8℃
  • 맑음군산24.4℃
  • 구름조금대구24.5℃
  • 맑음전주27.0℃
  • 맑음울산20.4℃
  • 소나기창원21.6℃
  • 구름조금광주28.5℃
  • 구름조금부산21.5℃
  • 구름조금통영22.5℃
  • 맑음목포24.9℃
  • 맑음여수22.2℃
  • 구름많음흑산도23.6℃
  • 구름많음완도24.2℃
  • 맑음고창26.7℃
  • 구름조금순천23.3℃
  • 맑음홍성(예)26.0℃
  • 맑음25.5℃
  • 구름많음제주24.3℃
  • 구름많음고산21.5℃
  • 구름많음성산22.7℃
  • 구름많음서귀포23.6℃
  • 구름많음진주23.7℃
  • 맑음강화26.1℃
  • 맑음양평25.4℃
  • 맑음이천26.2℃
  • 맑음인제24.8℃
  • 구름조금홍천26.3℃
  • 구름많음태백18.0℃
  • 구름조금정선군25.3℃
  • 구름많음제천24.6℃
  • 구름많음보은23.8℃
  • 맑음천안25.4℃
  • 구름조금보령24.8℃
  • 맑음부여27.1℃
  • 구름조금금산25.4℃
  • 맑음25.9℃
  • 맑음부안25.4℃
  • 맑음임실26.3℃
  • 맑음정읍28.6℃
  • 맑음남원27.5℃
  • 구름많음장수23.9℃
  • 맑음고창군27.7℃
  • 맑음영광군26.4℃
  • 구름많음김해시21.8℃
  • 맑음순창군27.4℃
  • 구름많음북창원21.7℃
  • 구름많음양산시22.9℃
  • 구름조금보성군23.7℃
  • 구름조금강진군24.2℃
  • 맑음장흥22.7℃
  • 구름많음해남23.8℃
  • 구름조금고흥23.7℃
  • 구름많음의령군26.5℃
  • 구름많음함양군25.7℃
  • 구름조금광양시24.0℃
  • 구름많음진도군22.9℃
  • 구름많음봉화22.1℃
  • 구름많음영주24.5℃
  • 맑음문경24.2℃
  • 구름조금청송군22.4℃
  • 구름조금영덕19.8℃
  • 구름조금의성25.2℃
  • 맑음구미26.3℃
  • 맑음영천23.1℃
  • 맑음경주시23.7℃
  • 구름많음거창20.3℃
  • 흐림합천24.7℃
  • 구름조금밀양24.9℃
  • 구름많음산청21.6℃
  • 구름조금거제21.1℃
  • 구름조금남해22.7℃
  • 구름많음22.0℃
기상청 제공
순천향대천안병원, 두경부암 환자 괴롭히는 ‘구강점막염’ 새 치료법 제시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순천향대천안병원, 두경부암 환자 괴롭히는 ‘구강점막염’ 새 치료법 제시

왼쪽부터 순천향대천안병원 조인영 김정은 박재홍 반명진 원용균 교수f.jpg
▲(왼쪽부터) 조인영(방사선종양학과), 김정은(피부과), 박재홍(이비인후과), 반명진(이비인후과), 원용균(방사선종양학과)

 

[천안신문] 순천향대학교 부속 천안병원 두경부암 다학제팀이 최근 방사선치료 합병증인 ‘구강점막염’을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했다.

 

입안 점막의 궤양으로 출혈과 심한 통증을 유발하는 구강점막염은 방사선치료와 항암화학요법 등 암치료 과정에서 흔히 나타나는 합병증이다. 특히 두경부암 방사선치료를 받는 환자의 80% 정도가 겪는다.

 

두경부암 다학제팀 조인영 교수(방사선종양학과)는 “구강점막염은 환자치료를 중단시키고, 장기적으로는 생존율까지 떨어뜨리는 심각한 합병증”이라고 설명했다.

 

다학제팀이 제시한 구강점막염 치료법은 저출력 레이저를 이용한 광생물변조 치료법(Photobiomodulation therapy)이다. 손상된 구강점막에 적정 강도의 레이저 광선을 쪼임으로써 신속한 세포 재생을 유도하는 것이다.

 

조인영 교수는 “방사선치료로 구강점막염이 발생한 두경부암 환자 21명에게 주 3~4회 저출력 레이저 치료를 시행한 결과, 모든 환자에서 구강점막염이 크게 개선됐다”고 밝혔다.

 

구강점막염의 등급을 1~4로 구분할 때, 치료 환자군의 치료 전 등급은 평균 2.63이었으며, 치료 4주 후에는 평균값이 0.75로 매우 낮아졌다.

 

치료 후 실시한 건강 관련 삶의 질(HRQo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설문에서 환자들의 주관적 만족도 역시 크게 향상됐다.

 

조인영 교수는 “지금까지 다양한 구강점막염의 치료 방법이 제시돼 왔으나 모두 유의미한 효과를 입증하진 못했다”면서, “저출력 레이저 치료가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음을 국내 최초로 입증한 것” 이라고 말했다.

 

조 교수는 또 “저출력 레이저 치료는 방사선치료와 동시에 시행할 수 있어 두경부암 환자들의 치료 지연 예방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연구 결과는 ‘두경부암 환자의 항암방사선치료로 인한 구강점막염의 광생물 변조치료 효과(Effect of a Novel Handheld Photobiomodulation Therapy Device in the Management of Chemoradiation Therapy-Induced Oral Mucositis in Head and Neck Cancer Patients: A Case Series Study)라는 제목으로 국제학술지 photonics 2023년 제10권(제3호)에도 소개됐다.


천안신문 후원.png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